반응형 다래1 지금의 키위는 어떻게 생겨났을까? 그린키위, 골드키위 그리고 뉴질랜드의 브랜드 제스프리가 생각나고 따라서 키위는 외국 어딘가에서 온 과일 같지만 사실 오래전부터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에서도 자생하던 과일이다. 우리나라에서 부르던 이름은 다래이다. 고려가요 '머루랑 다래랑 먹고' '청산에 살어리랏다'의 '다래가' 바로 키위이다. 그리고 이 '키위'라는 명칭은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날지 못하는 새 '키위'로부터 나왔다. 드립이 아니라 진짜 그렇다. 중국이 원산지인 다래는 19세기 무렵 영국 미국 등 일부 서양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, 서양인들은 이 '다래'에 대해 크기는 호두 정도의 크기의 맛은 잘 익은 구스베리를 닮았다고 묘사했으며 따라서 다래는 '차이니즈 구스베리'라고 불리게 되었다. 1904년 뉴질랜드의 선교사이자 교육자였던 '이사벨.. 2023. 9. 5. 이전 1 다음 LIST